티스토리 뷰
1. 개념 및 정의
1) 건축의 정의
건축공학(建築工學, architectural engineering)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건축이란 용어의 정리가 필요한데 건축이란 용어가 건축가들 사이에서 논쟁이 된 것은 오래된 일이다. 현대건축의 아버지로 불리는 르 코르뷔지에(Le Corbusier)는 ‘건축은 빛에 의하여 종합적이며 정확하고도 웅대하게 보이는 덩어리들의 행위’라고 정의하였으며, 루이스 이사도어 칸(Louis Isadore Kahn)은 ‘건축은 자연은 만들 수 없는 무엇’이라 하였고, 윌리엄 코딜(William Caudill)은 ‘건축은 개인적이고 즐길 수 있으며 필수적인 경험’이라고 하였다. 이런 건축의 정의에 대한 논쟁은 존 러스킨(John Ruskin)과 윌리엄 모리스(William Morris) 사이에 일어났으나 건축이란 ‘건물+예술’이라는데 동의했고 현재까지 많은 건축가들에게 공감되는 정의가 되었다.1)
어원적으로도 라틴어의 아키텍투라(architectura)로서 예술+기술의 양면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어 건축은 예술과 기술의 복합물이라는 것을 말하고 있다. 건축의 3요소로는 구조, 기능, 미가 있다.
2) 건축공학
건축공학(건축학)은 크게는 건축설계(建築設計, architectural design), 건축계획, 건축의장(建築意匠, architecture design), 인테리어(interior) 같은 건축의 예술적 측면의 디자인 분야와 건축시공(建築施工, execution of building works), 건축구조(建築構造, building construction), 건축재료학(建築材料學, building materials), 건축환경, 건축설비(建築設備, building equipment), 건설관리 등의 기술적 측면의 공학적 분야가 포함되어 있으며 작은 의미로는 건축의 기술적 측면만을 말하기도 한다.2) 특히 오늘날 첨단으로 발전된 건축자재와 기술로 하루가 다르게 초고층 건축물이 만들어지는 현대에서 건축공학이라는 의미가 단순히 기술적인 분야만 놓고 말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2. 역사와 발전단계
건축의 역사는 인류가 주거생활을 하기 시작하면서부터 현대에 이르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나, 학문으로서의 건축공학의 역사는 크게 근대 이전과 근대 이후로 구분하여 살펴볼 수 있다. 근대 이전의 건축공학은 어떻게 좀 더 넓은 공간을 얻을 수 있느냐하는 인본주의적 관점과 어떻게 좀 더 높이 오를 수 있을까 하는 신본주의적(神本主義的) 관점이 가장 큰 화두였으며, 근대 이후의 건축공학은 산업혁명 이후에 건축재료의 발전과 함께 급속도로 발전하게 되었으며, 재료의 변화에 따른 각종 건축기법들도 발전하게 되었다.
1) 고대에서 고전까지의 건축공학
(1) 고대의 건축공학
고대인들은 기후와 환경에 대한 안전도모와 쉼을 위해 동굴과 같은 자연지형을 이용하다가 움집이나 거석을 통한 새로운 주거생활을 하기 시작하면서 건축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이는 식량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화전이나 사냥에 의존하던 시기에는 떠돌이 생활을 하기에 주거가 안정적이지 못했으나, 농사가 발전하며 한 곳에 정착하게 되어 삶으로서의 주거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이론적으로는 정리되지 않았으나 많은 시간을 통해 답습되고 수정되는 과정에서 점차적으로 건축공학적 측면도 갖추게 되었는데 원시 건축의 거석문화는 그들의 건축기술을 잘 대변해주고 있다. 건축의 한자어인 建과 築은 쌓는다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데 이는 돌을 쌓아서 건물을 짓는 서양 건축문화에 기인하여 이야기하는 것이며 현대건축 이전의 모든 서양 건축물은 이 범주에 속해있다. 이런 쌓는 기술의 발전은 거대한 노동력이 뒷받침되어 이집트와 같은 강력한 왕권 체제하에서 크게 빛을 발하게 되었고 피라미드는 세계의 불가사의로 전해지고 있다.
(2) 그리스의 건축공학
그리스와 같이 인권이 중요시되었던 국가에서는 피라미드 같은 거대한 규모의 건축양식보다는 휴먼 스케일에 가까운 미학적 건축물이 발전하게 되었다. 균형, 비례, 조화 등 건축의 미적 측면이 가장 강조된 시기로서 신전 건축은 대표적 그리스 건축물이다. 아름다움은 신의 속성으로서 건축물에 있어서도 미를 추구하는 것이 그리스인들에게는 신앙과 같은 것이며 그런 미의 비결은 균형, 비례에 있다고 생각했다.3) 그리스 건축은 조각 등 예술작품과 함께 건축물 자체가 예술품으로 빛난 작품이다. 주로 기둥과 보가 조립되는 미식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사용된 기둥으로는 도릭, 이오닉, 코린티안의 3양식이 사용되었고 기단 위에 기둥을 얹고, 그 위에 다양한 형식의 엔터브레쳐를 얹음으로써 지붕의 하중을 받게 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3) 로마의 건축공학
강력한 군주권력을 바탕으로 크고 웅장한 건축물이 발전한 로마 건축물에서의 건축공학은 넓은 공간의 필요에 따른 기술발전이 이루어졌는데 아치(arch)나 볼트(vault)의 발달을 통해 그들의 건축공학이 발전하게 되었다. 그리스의 예술적 건축기술을 바탕으로 아름다움에 규모가 더해져 건축문화에 새로운 꽃을 피운 로마 시기에는 신전과 왕궁, 경기장, 포럼(forum), 극장 등 다양한 건축물들이 건설되었으며, 그 규모를 통해 당시 강력한 왕권을 추측할 수 있다.
2) 근대 이전의 건축공학
(1) 기독교 중심의 건축공학
중세 시대의 건축공학은 오직 신에 대한 경건한 신앙관이 부각되었다. 주로 교회건축물이 많이 지어졌으며, 보다 높이 오르는 것이 신에게 가까이 갈수 있는 방법이라 생각했던 시기로서 건물을 높이 짓는 것이 가장 큰 관심사였다. 이런 기대는 초기 기독교 건축에서 출발하여, 비잔틴, 사라센, 로마네스크를 거쳐 고딕이라는 새로운 장르를 만들고 화려하게 꽃을 피웠다. 일반 아치는 볼트로 발전하고 볼트는 크로스볼트로 발전하였으며, 사라센의 포인티드 아치가 가미되어 고딕의 포인티드 아치가 만들어졌으며, 리브볼트(ribbed vault)와 플라잉 버트레스(flying buttress) 등 높고 신성한 실내공간을 만들기 위한 다양한 기술적 시도가 이루어졌다.
(2) 르네상스의 건축공학
건축공학이 이론적으로 정립되기 시작한 시대는 르네상스를 거치면서이다. 고전(그리스, 로마)으로 돌아가자는 깃발로 시작된 르네상스는 중세 암울했던 시기를 떨치고 인간에게 새로운 시기의 도래를 말하였으며, 건축 분야에서도 새로운 세계가 열리게 되었다. 이 시대에 비로소 건축물이 아닌 건축가가 이름을 나타내는 시기가 되었으며, 수학(數學, mathematics)과 과학(科學, science)을 바탕으로 한 건축공학의 이론이 정리되는 시기가 되었다. 당시에 활동했던 건축가들은 필리포 브루넬레스키(Filippo Brunelleschi), 도나토 브라만테(Donato Bramante), 미켈란젤로 디 로도비코 부오나로티 시모니(Michelangelo di Lodovico Buonarroti Simoni), 잔 로렌초 베르니니(Gian Lorenzo Bernini), 안드레아 팔라디오(Andrea Palladio) 등 유명한 건축가들이 있으며, 특히 팔라디오는 그의 저서 『건축4서』를 통해 팔라디오 양식의 이론을 완성하였다.
(3) 산업혁명과 건축공학
산업혁명은 농업과 기계의 혁명이었으나, 건축에 있어서도 혁명을 가져왔다. 우선 재료의 다양화와 풍부한 생산력으로 과거와 다른 건축으로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고, 산업화로 인한 인구의 도시집중은 많은 주거의 필요를 가져왔으며, 주거를 비롯한 많은 건축물이 생겨나게 되었다. 특히 철의 대량생산으로 인한 건축물의 변화는 대단한 것인데, 철근콘크리트의 발전, 철골구조의 발전, 커튼월(curtain wall)의 발전에 기인하였다. 구조적 발전과 함께 아르누보 형식과 같은 예술적 양식의 발전도 가져왔다.
(4) 현대의 건축공학
근대 도시의 산업화와 집중화는 많은 건축물의 필요를 가져오게 되었으며, 새로운 기술들을 발전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르 코르뷔지에의 도미노 시스템은 종전의 서양 건축에 동양의 가구식 구조를 접목한 새로운 형태의 구조를 제안하였으며, 이런 형태의 건축양식은 현대에 있어서 기본이 되었다. 대지의 효율화를 위해 보다 높은 건물을 짓기 위하여 노력하였고 그 결과 100층이 넘는 고층건물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세계에 널리 퍼지게 되었다. 밀집된 지역 내에서 낡은 건물을 부수고 새로운 건물을 짓기 위해 필요한 많은 기술들이 하루가 다르게 개발되고 있으며, 시대의 흐름은 점점 더 편리하고 안전한 삶의 추구로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동, 통신, 전기, 급배수, 난방, 소방, 방범 등 설비 부분의 첨단 기능을 건축에 접목하려는 시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준비물 #시험시간 #자격증 #시험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 운전자보험12대중과실 #음주운전 #무면허 #어린이보호구역안전의무위반 #신호위반 #제한속도과속 #중앙선침범 #운전자보험 #화재보험 #보험 #운전자
- 볼링공스펙보는방법 #스포츠 #볼링공 #볼링공고르는방법 #볼링공수치 #볼링공스펙 #볼링 #스펙보는방법
- 산재보험 #산업재해 #산재 #보험 #근로자 #재해사망 #장례비 #병원비
- 볼링공시리얼번호뜻 #볼링공 #시리얼 #번호
- 해병대 #해병 #무적해병 #귀십잡는해병 #신화를남긴해병 #625전쟁 #한국전쟁 #베트남전 #해병역사 #해병창설배경 #지원구비서류 #지원방법 #병무청홈페이지 #병역의무 #육군 #공군 #해군 #특전사
- 연금보험 #연금 #보험 #보장내용 #특약 #보험료납입 #연금보험종류
- 어린이보험 #어린이 #보험 #보장내용 #만30세까지 #가입나이 #장점 #단점
- 운전면허2종보통에서1종보통면허를변경하는방법
- 해양경찰특공대
- 축국역사상위대한선수 #축구 #역사 #위대한선수 #펠레 #마라도나 #베켄바워 #메시 #호날두
- 실손의료보험이란? #실손의료보험 #의료보험 #실손 #보험 #면책사항 #보장영역 #정의 #병원비
- 개인형irp퇴직연금 #개인형 #irp #퇴직연금 #계좌개설방법 #세액공제 #해지방법 #퇴직금 #직장인퇴사 #직장인 #회사원 #퇴사
- 상해보험 #상품찾기 #상해보험납입면제 #상해보험보장내용
- 군대에서자격증취득하는방법 #군대 #자격증 #국가기술자격증 #공부
- 간병인보험이란? #간병인보험 #간병인 #보험 #고령화 #노인보험 #노인
- 대한민국특수부대 #특수부대 #강철부대 #육군특전사 #UDT #SEAL #CCT #SART #공군특수부대 #해군특수부대 #SSU #경찰특공대
- 운전면허증 #1종보통면허 #2종보통면허 #면허시험장 #자동변속기 #수동변속기
- 토익 #토익시험시간 #토익준비물 #영어시험 #영어 #취업준비 #자격증 #토플
- 영광군 #청년대상심리지원서비스
- 운전면허증갱신하는방버 #과태료 #10년 #운전면허 #1종보통면허 #면허증 #운전 #자동차 #운전자
- 서울시내버스기사 #시내버스기사 #기사 #시내버스 #연봉 #복지 #장단점 #월급 #취업 #버스회사
- 건축구조
- 축구역사 #축구 #폿볼 #잉글랜드 #영국 #스포츠 #귀족스포츠 #근로자취미 #산업혁명 #축구 #역사
- 충치생기는이유 #충치원인 #이를닦아도생기는충치 #양치질해도충치 #충치예방법 #충치잘생기는사람 #치과 #양치질 #치약 #덴티스트 #이빨 #치통 #썩은이빨 #이빨관리
- 독일출신감독 #독일 #위르겐클린스만 #선수 #축구선수 #클린스만감독 #대한민국국가대표팀감독 #대한민국 #국가대표 #축구감독 #독일
- 자동차사고시위기대처방법 #자동차 #사고 #위기대처 #방법 #보험사 #견인차 #과실
- 운전면허필기시험 #필기시험 #운전면허 #운전면허증 #기능시험 #도로주행
- 볼링치는방법 #볼링잘치는방법 #볼링 #볼링규칙 #볼링점수 #볼링점수계산방법 #볼링스트라이크치는방법 #스트라이크 #스포츠
- 고속버스기사되는방법 #버스기사 #기사 #고속버스기사 #연봉 #복지 #처우 #시내버스 #마을버스 #교회버스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